INTRO
- 아홉 번째 시간에는 아티클 스터디에 대해 다뤄보겠습니다
1. 서비스 기획자란
1) 온라인 네티워크를 바탕으로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는 서비스를 다루는 사람
- 목표를 설정하고, 세부적인 계획을 세워, 어떻게 얼마만큼 구현할 것인가 고민하는 사람
2) UX와 비즈니스 모델까지 고려
- 개인적 경험이나 고객의 불만이 아닌, 비즈니스 모델의 방향성을 고려하여 서비스를 개선
3) 개발 환경과 비용까지 고려
4) 서비스 전체의 선순환을 생각
- 페인포인트 외에 서비스 전체의 순환 구조까지 고려하는 폭넓은 시각을 가져야 함
5) 직장 선택의 기준: 연봉, 네임밸류, 조직문화
- 자신이 속한 기업의 비즈니스 모델, 정책, 시스템의 한계와 구조를 잘 알고 있어야, 적극적으로 도전적인 과제에 임할 수 있음
2. 서비스 기획을 위해 알아야 할 것들
1) 프로젝트는 과정, 프로덕트는 산출물
- 프로젝트 관리자와 달리, 서비스 기획자는 프로젝트를 서비스 생애주기를 관리하기 위한 하나의 수단으로 진행함
2) 전략 기획자의 전략 기획과 서비스 기획자의 서비스 기획 모두 비즈니스 초기 단계에서 필요
3) 비즈니스 환경에 맞는 서비스 기획
- 서비스 기획 시점에서는 법률적인 부분을 포함하여 여려 가지 비즈니스 환경을 검토하고 반영해야 함
4) 프로젝트의 정의
- 프로젝트: 평소 일상 업무가 아닌, 일정 기간 목표를 위해 추진하는 특수한 업무
- '기획-디자인-개발-테스트-오픈'이라는 다섯 단계를 '기획자, 디자이너, 개발자'라는 최소 3개 직군이 함께하여 IT 서비스를 만들어내는 협업 업무
5) 프로젝트 방법론
- 정의: '기획-디자인-개발-테스트-오픈'이라는 프로젝트 작업 순서와 작업 방식을 정의하는 방법
- 워터폴은 기초 문제, 애자일은 응용문제
- 유저 스토리: 전체 서비스가 갖춰야 할 고객의 목표와 핵심 결과를, 사용자 목표에 따라 나눠 작성한 요구사항 리스트. 디자이너와 개발자의 자유가 보장되도록 작성
- 스프린트 별로 기획 방향을 검토하고, 프로젝트와 프로덕트를 동시에 진행해야 함
- 기획자는 모두의 사상과 목표를 합치시킬 수 있어야 함
6) 기획자에게 방법론은 커뮤니케이션 수단일 뿐
- 방법론의 선택보다 팀원들이 스스로 무엇을 만들고 있는지, 무슨 일을 해야 하는지 알 수 있게 해야 함
- 기획은 비즈니스 모델에 대한 이해를 바당으로, 해당 시스템 구조 내에서 구현 가능한 IT 기술과 고객에게 유의미한 UX를 만들어주는 UI가 포함된 것
7) 기획자의 태도
- 실무자의 요청 사항의 필요성에 공감
- 직무적 신뢰감
'IT 서비스 기획' 카테고리의 다른 글
[PM/PO/기획자] 생성형 AI를 활용한 데이터 드리븐 PM Camp - 개강 OT 및 미디어 컨텐츠 도메인에서 PM의 역할과 이해관계자 (12) | 2024.12.16 |
---|---|
[PM/PO/기획자] Product Manager 캠프 - ⑩PM이란? (4) | 2024.12.13 |
[PM/PO/기획자] Product Manager - ⑧타깃 사용자 정의 (2) | 2024.12.11 |
[PM/PO/기획자] Product Manager 캠프 - ⑦페르소나란? (2) | 2024.12.10 |
[PM/PO/기획자] Product Manager 캠프 - ⑥그로스 해킹이란? (4) | 2024.12.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