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서비스 기획

[PM/PO/기획자] Product Manager - ⑧타깃 사용자 정의

필문(PM) 2024. 12. 11. 21:33
728x90
반응형

INTRO

- 여덟 번째 시간에는 타깃 사용자 정의에 대해 다뤄보겠습니다

 

1. 주제

- 타깃 사용자를 정의하는 것이 중요한 이유

 

2. Why: 모든 사람을 타깃으로 하면 발생하는 문제

1) 어떤 기능을 구현해야 할지 선택하기 어려워진다

- 시장 인구가 세대별로 구분되는 경우에, 어떤 채널을 통해 마케팅을 할지 결정하기 어렵거나 과도한 비용이 들 수 있다

- 각 팀의 정의한 제품의 성격이 달라져, 각 팀의 목표가 불분명해진다

- 경쟁자를 특정하기 어렵고, 경쟁자의 수가 급격하게 늘어나 분석 및 전략을 설정하기 어렵다

- 정확한 문제점을 특정할 수 없기 때문에, 제품을 정확하게 개선할 수 없다

2) 마감기한의 문제가 있다

- 제한된 기간안에 많은 문제를 처리해야 하는 비효율이 발생할 수 있다

3) 투자 비용 대비 성과가 좋지 않음

- 근거1 타깃을 분명하게 설정했을 때와 대비하여, 효율성이 떨어진다

- 근거 2: 중요 고객의 요청을 처리하는데 집중하지 못하는 어려움이 있다

 

3.How: 타깃 사용자를 효과적으로 정의하는 방법

1) 프로덕트의 목표와 잠재고객의 정보

- 이유 : 지속적인 정보 획득 및 분석이 프로덕트 성장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

- 방법: 구매자 간의 지역적 특성이 희미해진 대신, 브랜드 충성도를 파악하는 것이 필요 - 회원가입 시에 개인정보 획득, 웹 분석을 통해 개선점을 파악

2) 잠재고객의 인구통계학적 정보(라이프스타일, 연령, 사는 곳)

- 이유 : 잠재 고객의 정보를 세밀하게 결정할 수 있음

- 방법: 예상한 잠재 고객의 정보를 실제로 비교 분석해 보기

- 초기 스타트업의 상정했을 때: 기획 단계에서 예상되는 특징을 설정

- 국가 정책 정보에서 나타나는 인구통계학적 정보 획득

- 설문 조사, 커뮤니티 관찰

- 초기 스타트업(고객 확보)과 기존의 사용자를 확보한 기업(고객 확장)의 경우는 서로 다른 정보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이를 고려한 페르소나 설정이 필요

3) 구매 계층 - 가정환경 등

- 이유: 제품의 특성에 따라서 가정환경 등의 정보도 필요 ex) 티니핑

- 방법: 프로토타입에 대한 오픈 베타 서비스를 실시하여 실제 데이터 획득

4) 구매이력, 사용 빈도

- 이유: 데이터를 통해 고객의 관심사를 파악할 수 있음

 

4.What - 무엇을 하면 좋을까

1) 광고를 하여 고객을 모집한 경우

- 브랜드 충성도를 계급별로 구분하여, 각 계층에서 요구하는 개선점들을 파악하여 재구매율을 높인다

- 계급 상승 시 리워드 제공- (장/단점 - 위와 같음)

기존 데이터를 가지고 예측모델을 만듦 → 새로운 고객이 들어왔을 때 적용 → 고객들의 (예상) 등급을 계층화하여 새로운 페르소나를 만들 수 있음 ex) 카드 회사 - 공유된 데이터 베이스(개인적 특성)를 통해 타깃마케팅을 실시

2) 공공데이터 포털을 활용할 수 있지만 실질적으로 데이터를 얻기 매우 어려울 수 있음. 이 경우 데이터를 얻기 위한 방법이 얻을 데이터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새로운 방법으로 무엇을 정할지가 매우 중요

3) 소셜미디어 활용 - 정보 수집과 홍보 효과가 함께 이루어질 수 있음

4) 소수의견의 경우 상황에 맞게 유연하게 대처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