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서비스 기획/PM, PO, 기획자

[PM/PO/기획자] Product Manager 캠프 - ⑦페르소나란?

필문(PM) 2024. 12. 10. 15:45
반응형

INTRO

- 일곱 번째 시간에는 페르소나에 대해 다뤄보겠습니다

 

1. 사용자 페스로나

1) 정의: 대상 고객을 나타내는 가상의 인물을 의미. 사용자 연구를 통해 얻은 데이터와 사실을 기반으로 만들어짐. 결과를 수집하여 제품을 사용할 수 있는 현실적인 캐릭터를 정의하는 데 사용됨

 

2. 사용자 페르소나가 아닌 경우

1)  시장 세분화에 중점을 둔 구매자 혹은 마케팅 페르소나와는 다름. 서로 다른 목적을 수행하는 개별적인 독립체

2) 허구가 아닌 실제 데이터와 구체적인 연구에 기반

3) 특정 제품의 모든 고객 또는 모든 요구사항을 대표하지는 않는 대신, 가장 중요한 고객을 정확하게 찾아냄

4) 페르소나는 정해져 있거나 영속적이지 않음.  제품 업데이트와 더불어 정기적으로 검토하고 업데이트해야 함

 

3. 사용자 페르소나의 이점

1) 고객 파악

- 사용자의 주요 문제 파악 -> 더 나은 사용자 경험 제공하여 고객 유도

2) 정보에 입각한 의사 결정

3) 인간적인 감성

- 공감할 수 있는 캐릭터를 만들어 리서치를 실현시키고, 사용자들의 요구와 기대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됨

4) 제품의 정확성 개선
- 사용자 페르소나를 더 깊이, 상세하게 파악할수록 사용자의 요구 이해 및 충족이 용이해짐

5) 더 나은 플로우를 디자인

- 플로우 개선 = 비즈니스 개선(간소화)

6) 커뮤니케이션 개선

- 적절한 채널, 상징, 매체를 통해 원하는 고객층과 소통하고 있음을 확인

7) 연속성 보장

- , 모든 사람이 같은 의견을 가질 수 있도록 잘 정의된 개인 정보를 제공. 협력할 전체 팀의 동의를 받아야 하므로, 팀 간 협업, 정보에 입각한 신중한 의사결정이 가능

8) 사용자 중심적인 디자인 가능

 

4. 페르소나를 만드는 방법

1) 양적 및 질적 연구 수행(사용자 리서치)

- 정성적 및 정량적 리서치를 통해 사용자 및 잠재 사용자에 대한 데이터 수집

- 양적 연구: 온라인 설문조사, 웹 분석

- 질적 연구: 사용자 인터뷰, 포커스 그룹, 맥락적 인터뷰, 사용성 테스트

 

2) 리서치 정리

- 데이터를 수집 후 분석하여 압축하는 것이 좋음

- 양적 연구: 그래프를 이용한 결과 시각화 -> 사용자 페르소나에 적용할 수 있는 트렌드 파악

- 질적 연구: 포스트잇 노트로 데이터 시각화 -> 반복적인 테마 그룹화
                  서면 답변 -> 단어 빈도수 추출기 사용

 

3) 페르소나 개수 결정

(1) 가장 중요한 사용자 그룹 확인. 1~4개가 이상정
(2) 각 주요 그룹에 대해 사용자 페르소나 1개를 만듦

(3) 페르소나가 2개 이상인 경우

- 주요 페르소나: 가장 관련성이 높고 제품과 실제로 상호 작용하는 사용자. 가장 중심이 되는 의사 결정자

- 보조 페르소나: 추가 요구 사항이 있을 수 있는 사용자. 주요 페르소나 경험 방해 x ex) 시각 장애 사용자

 

4) 페르소나 묘사

(1) 이름

- 실제 이름으로 각각의 개별적 특성 강조

(2) 이미지

(3) 인구 자료 및 무미건조한 세부 정보

- 연령, 가족 관계, 직업, 거주 위치, 학력, 배경 및 기술 역량 등

(4) 사이코그래픽스

- 목표, 불만사항, 행동 및 의견 등

(5) 인용문 요약

- 페르소나 가장 필요로 하는 것을 요약하는 간결한 문장

 

5) 사용자 페르소나 시각화

(1) 전체 설계 프로세스에서 참조점으로 활용, 의사 결정 및 아이데이션에서 도움

(2) UX 포트폴리오의 사례 연구 섹션에 페르소나를 포함시킬 수도 있음

(3) 계층 구조에 유의하며, 가장 중요한 정보를 강조함으로써 디자인 포트폴리오를 한눈에 파악하는 것만으로 페르소나에 대한 본질을 파악할 수 있음

 

6) 사용자 페르소나 통합

- 모든 인원의 합의 하에 페르소나 설정 및 최신 상태로 유지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