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TRO
- 열 번째 시간에는 첫 시간과 동일하게 PM이란 무엇인가에 대해 다뤄보겠습니다. 첫 번째 시간과 달라진 점을 비교해서 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1. 내가 이해한 PM은 어떤 역할을 하는 사람인가요? 나는 비슷한 경험을 해 보았나요?
- 프로덕트 매니저의 역할과 가장 가까웠던 경험:
- PM은 프로덕트를 기획 및 총괄하고, 다양한 직군의 사람들과 협업하는 사람이다. 디자이너, 개발자, PO 등등
- PM의 역할과 가장 가까웠던 경험은 리더의 역할을 맡았을 때이다. 구성원들에게 목표를 이해시키고, 그들이 스스로 작업을 하게끔 조직을 운영해 나간다는 점이 PM과 비슷한 것 같다
2. 위의 업무/학습 경험에서, 어떤 부분이 프로덕트 매니저의 역할과 유사하다고 생각했나요?
- 프로덕트 매니저의 역할: PM의 역할은 1. 실무자들을 포함한 구성원 모두에게 프로덕트의 궁극적인 목표를 이해시키고, 그 목표를 위해 각자의 역할을 잘 수행하게끔 운영하는 것과 2. 회사 또는 조직이 원하는 프로덕트의 기획을 도맡아 하는 것이 있다
- 나의 경험은 학부 시절 연극 동아리 회장으로서, 극단을 운영하고 공연을 기획한 점이 PM과 역할 적인 부분에서 비슷하다. 해당 학기의 공연 목적을 정의하고 극본을 결정하고 재무 상태, 저작권 등의 법률 이슈 등을 검토한다. 또한 업무 우선순위를 정한 후 디자인팀, 무대팀, 음향팀 등 메이커들과 지속적으로 소통하고 관객(소비자)에게 궁극적으로 전달되어야 할 공연과 메시지(프로덕트 및 UX)를 구성원들과 공유한다
- 이 경우 전략은 초기 기획단계에서 결정된 목표들이다. 무대 디자인, 음향, 소품, 의상, 예산, 기한, 공연의 목적 등. 실행은 전략을 실현시키기 위해 시도하는 행위들이라 지칭할 수 있다
- 한편 서비스 기획은 프로덕트를 통한 UX 개선에 방점이 찍히고, 프로덕트 매니징은 프로덕트를 메이킹하는 과정에서 의사결정과, 우선순위, 커뮤니케이션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3.PM의 역량/역할 중에서 내가 관심 있는 것은 무엇이며, 관심 없는 것은 무엇인가요?
- 메이커들과 소통하며 프로덕트를 구현해 나가는 것에 뿌듯함을 느낄 것 같다
- 관심 없는 분야는 없지만, 프로덕트와 관련 없는 디자인 및 개발 지식을 습득하는 것은 우선순위가 밀릴 것 같다
4.PM의 역량/역할 중에서 내가 잘 할수 있는 것은 무엇이며, 잘하지 못하는 것은 무엇인가요?
- 항상 프로덕트의 궁극적인 방향성을 상기하며 커뮤니케이션을 하는 것을 잘한다. 확실한 기준점을 두고 대화하기 때문에 시장의 다른 경쟁자들보다 목표에 부합하는 최종 산출물이 나오게 할 수 있다
- 상대의 의도를 파악하고 설득해서 하는 것을 잘한다. 또한 메이커들이 자율적으로 움직인다는 의식을 심어주는 것을 잘한다
5. 내가 되고 싶은 PM은 어떤 모습인가요? 미래의 모습은 나의 장점과 흥미를 모두 반영하고 있나요?
- IT 업계에서 PM으로서, 미래에는 스스로 스쿼드를 꾸려 만들고 싶은 프로덕트를 만들고 싶다. 시공간의 자율성이 보장되는 환경에서도 일하고 싶다
'IT 서비스 기획' 카테고리의 다른 글
[PM/PO/기획자] 프로덕트로서 유튜브의 사용자 여정과 PM의 역할 (10) | 2024.12.17 |
---|---|
[PM/PO/기획자] 생성형 AI를 활용한 데이터 드리븐 PM Camp - 개강 OT 및 미디어 컨텐츠 도메인에서 PM의 역할과 이해관계자 (12) | 2024.12.16 |
[PM/PO/기획자] Product Manager 캠프 - ⑨아티클 스터디 (2) | 2024.12.12 |
[PM/PO/기획자] Product Manager - ⑧타깃 사용자 정의 (2) | 2024.12.11 |
[PM/PO/기획자] Product Manager 캠프 - ⑦페르소나란? (2) | 2024.12.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