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서비스 기획

[PM/PO/기획자] 생성형 AI를 활용한 데이터 드리븐 PM Camp - 개강 OT 및 미디어 컨텐츠 도메인에서 PM의 역할과 이해관계자

필문(PM) 2024. 12. 16. 22:28
728x90
반응형
SMALL

INTRO

생성형 AI를 활용한 데이터 드리븐 PM Camp는 ' KDT 생성형 AI를 활용한 데이터드리븐 프로덕트 매니저 양성과정 1회 차'의 교육 과정 내용 포함하고 있으며, 그 과정에서 주체적으로 학습한 내용을 [PM/PO/기획자] 칼럼 부분에 공유할 예정입니다.

1. Docs 둘러보기

-출결 하는 법 및 관리 제도 등의 필독사항 정독

- 학습지원 사항 확인

- PM입문자를 위한 가이드 섹션 - 정독 예정

- 기초 자료(피그마, 노션 등) 가이드 확인 - 주차별 학습에 맞춰 학습 예정

- 학습자료: 자기 주도적 학습으로 작성 예정

- 학습 꿀팁 기능 확인

 

2. 온보딩 주자

- 직무 스터디: 1일 차 실시

- 아티클 스터디: 화, 금 예정

- 강의 수강: 오전 OT로 생략

- 튜터님 인사 - 아이스 브레이킹 및 질의응답 진행

- 팀 스크럼 및 TIL: TIL 1일차 질문은 사전 켐프와 중복인 관계로 생략, 오전 스크럼이 없던 관계로 간략히 회고 후 화요일 오전부터 본격적으로 진행 예정

 

3. 팀 활동

- 팀 확인 및 멤버카드 작성: 관심 도메인 설문 조사에 따라서 팀 배정. 멤버카드 작성 후 아이스브레이킹에 활용

- 팀장 선출 및 팀원들 TMI 종합 후 제출: 팀장님이 팀원들 발표를 들으면서 빠르게 취합하여 효율성을 높임

- 직무 스터디

 1) 공통 질문

- 선택한 직무의 주요 업무

  • 제품 전략 수립 및 로드맵 작성:
  • 시장 분석, 사용자 니즈 파악, 경쟁사 동향 파악을 통해 제품 또는 서비스의 방향성을 제시하고 로드맵을 수립한다. 이를 통해 콘텐츠 서비스(스트리밍 플랫폼, 뉴스 포털, 웹툰/웹소설 서비스, 음악/비디오 플랫폼 등)가 시장에서 경쟁력을 유지 및 강화할 수 있도록 한다.
  • 콘텐츠 기획 및 운영 관리:
  • 어떤 콘텐츠를 어떤 형식(영상, 오디오, 텍스트)과 채널(웹, 모바일 앱, 스마트 TV, OTT)로 제공할지 결정한다. 또한 콘텐츠 추천 알고리즘 개선, 큐레이션 전략 수립, 사용자별 개인화 기능 등의 고도화를 이끈다.
  • 기능 개발 기획 및 실행 관리:
  • 새로운 기능(예: 재생 목록 관리, 개인 맞춤형 피드, 인터랙티브 스토리텔링 기능, 추천 시스템 고도화) 기획, 개발 일정 관리, 관련 부서 협의를 통해 제품을 릴리스하고 개선한다.
  • 사용자 경험(UX) 개선:
  • 이용자 인터뷰나 데이터 분석 결과를 토대로 UI/UX 개선안을 도출하고 디자인팀, 개발팀과 협력하여 이용자 만족도를 높인다.
  • 비즈니스 성과 모니터링 & KPI 관리:
  • DAU(Daily Active Users), MAU(Monthly Active Users), 체류시간, 전환율, 구독자 증가율, 광고 클릭률, 결제 전환율 등 핵심 지표를 추적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한 전략을 수립한다.

- 필수 역량

  • 도메인 지식:
  • 미디어 산업 동향, 콘텐츠 제작·배급 구조 이해, 디지털 콘텐츠 소비 패턴 파악, 저작권 이슈 등 업계 전반에 대한 이해.
  • 데이터 분석 능력:
  • 사용자 로그, 시청/청취 패턴, 구독 및 결제 데이터, 광고 성과 지표 등을 분석해 전략 수립에 반영할 수 있는 역량.
  • 커뮤니케이션 & 협업 능력:
  • 다양한 스테이크홀더(디자이너, 개발자, 사업개발, 마케팅, 운영, 법무, 콘텐츠 에디터 등)들과 원활한 소통 능력.
  • 전략적 사고 & 문제 해결 능력:
  • 시장 변화에 따른 새로운 기회 포착, 문제점 진단 후 솔루션 제안 및 우선순위 설정 능력.
  • 기획 & 프로젝트 관리 능력:
  • 로드맵 작성, 일정 관리, 리소스 배분 등 제품 개발 과정 전반을 효율적으로 운영하는 역량

- 관심 있는 도메인: 미디어 컨텐츠

 

- 도메인에서 다루는 주요 제품 및 서비스

사용자 데이터 유형

  • 소비 패턴: 시청/청취 시간대, 선호 장르, 시리즈 시청 완료율, 건너뛰기 패턴
  • 상호작용 데이터: 좋아요, 댓글, 공유, 구독, 팔로우, 재생목록 생성
  • 결제 데이터: 구독 모델(월 정액, 연간 정액), 광고 시청 후 전환율, Pay-per-view(PPV) 판매량
  • 추천 알고리즘 피드백: CTR(Click Through Rate), NPS(Net Promoter Score), 만족도 조사 결과

비즈니스 흐름

  1. 콘텐츠 소싱 및 제작:라이선스 계약, 자체 제작 및 오리지널 콘텐츠 기획.
  2. 서비스 제공:앱/웹 통해 콘텐츠 스트리밍, 추천 알고리즘 적용.
  3. 수익화 모델 운영:구독, 광고, PPV, PPL(Product Placement) 등 매출 창출.
  4. 데이터 분석 및 개선:사용자 반응을 분석해 콘텐츠 큐레이션 개선, 새로운 기능 기획

- 관련 사용자 데이터와 비즈니스 흐름

 

2) 1일 차 질문

- PM은 누구와 협업하나요?

  • 내부 협업
    • 개발팀(프런트엔드, 백엔드, 데이터 엔지니어): 기능 구현, 기술 스펙 확정
    • 디자인팀(UI/UX 디자이너): 사용자 경험 개선, 인터페이스 설계
    • 마케팅/사업개발팀: 프로모션 전략 수립, 광고 상품 기획, 파트너십 관리
    • 운영/콘텐츠 에디터팀: 콘텐츠 편성, 큐레이션, 서비스 운영 정책 관리
    • 법무/저작권팀: 콘텐츠 라이선싱 및 저작권 이슈 관리
    • 데이터 분석팀/데이터 사이언티스트: 사용자 데이터 분석, 추천 알고리즘 개선
  • 외부 협업
    • 콘텐츠 제작사, 스튜디오,
    • 광고주, 광고대행사
    • CDN(Content Delivery Network) 공급업체
    • 외부 솔루션 벤더(분석 도구, 자동화 툴 등)

- 이 직무에서 중요하게 다루는 문제는 무엇인가요?

  • 콘텐츠 큐레이션 및 개인화 문제
  • 각 사용자에게 가장 적합한 콘텐츠를 효율적으로 추천해 만족도 및 이용 시간을 극대화.
  • 수익 극대화 문제(광고 vs 구독 모델 밸런스):
  • 광고 및 시장 품질, 권한에 따른 계급별 구독자 벨런스 설정, 광고 피로도 관리
  • 저작권 및 규제 준수:
  • 각 지역별 저작권 법률, 콘텐츠 라이선싱 조건, 심의 규제 등 준수
  • 경쟁력 확보 문제:
  • 유사한 콘텐츠 서비스가 많은 상황에서 차별화 포인트(독점 콘텐츠, UX 개선, 커뮤니티 기능, 소셜 기능) 발굴
  • 기술적 확장성 및 품질 관리:
  • 대규모 트래픽 처리, 글로벌 서비스 확장 시 안정성 유지, 품질 보장.

- 선택한 도메인의 대표적인 제품/서비스는 무엇인가요?

  • OTT/스트리밍 서비스: Netflix, Disney+, Wavve, TVING
  • 음악 스트리밍: Spotify, Melon
  • 디지털 출판/웹툰: Naver Webtoon, Kakao Page
  • 뉴스/매거진 플랫폼: Naver News, Kakao View
  • MCN/1인 미디어 플랫폼: YouTube, Twitch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