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서비스 기획

[PM/PO/기획자] PM 직무의 특성, 서비스 기획자와의 차이, 역할, 기업 형태 및 크기, 내/외부프로덕트, 비즈니스 모델, 백엔드vs프론트엔드

필문(PM) 2024. 12. 23. 17:20
728x90
반응형
SMALL

PM 직무의 특성

- 역할의 범위가 광범위하고 유동적

- 눈에 보이지 않는 산출물(프로덕트의 전략/방향성 수립)

- 상대적으로 PM 직무의 역사가 짧음

 

PM과 서비스 기획자의 차이

- 서비스 기획자: 사용자 경험과 서비스 설계에 집중

정의: 서비스 전체의 구조와 사용자 경험(UX)을 설계

증점 영역: 사용자 경험과 인터페이스(UX/UI)에 집중

회사: 카카오, 네이버

-  PM: 프로덕트의 방향성과 전략을 설정, 비즈니스와 사용자 요구를 균형있게 고려하는 일에 집중

정의: 프로덕트의 방향성, 전략을 수립하고 성공을 책임지는 역할

중점 영역: 비즈니스와 사용자 가치를 고려한 제품 방향성과 전략 설정

회사: 쿠팡, 토스, 우아한 형제들, 당근마켓

- 이름이 아닌 직무를 보고 역할을 판단

- PO: 시장에 없던 혁신, 태동기, 전략적 직관, 0에서 1을 만듦

- PM: 안정성과 효율성 확보, 안정기, 성장기, 현제 데이터 기반, 1에서 100을 만듦

 

PM의 역할

- 프로덕트 성장을 위한 전략 수립, 수립한 전략을 실행

- 전략 수립을 위해 시장 및 사용자 분석, 프로덕트 전략 수립, 로드맵 수립

- 해관계자들과 협력해서 과제 진행. 효율적 프로젝트 관리, 세부 과제 기획

 

기업 형태


A) 인하우스: 자체적으로 제품이나 서비스를 개발하고 운영하는 회사 - 카카오, 삼성, LG

- PM: 회사의 장기 비전과 전략에 맞춰 제품을 지속적으로 관리하고 개선

- 사내 부서간 협업. 데이터와 사용자 피드백을 기반으로 한 반복 개선

B) 에이전시: 외부 클라이언트를 위한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회사 - 대기업 산하 또는 클라이언트 상대

- PM: 클라이언트의 요구를 충족하는 단기 프로젝트를 수행

- 완료 후 고객 인도, 외부 클라이언트와 사내 부서 간 협업

 

기업 크기

A) 스타트업(100인 이하)

- 모든 업무에 광범위하게 참여

예 : 검색,결제,광고 모두 1명의 PM이 담당

B) 대기업(100인 이상)

- 특정 영역에 집중해서 전문화된 역할

예 : 검색팀,결제팀,광고팀 담당 PM이 모두 다름

 

내부 프로덕트 VS 외부 프로덕트

A) 내부 프로덕트 

- 기업 내부에서 사용되는 시스템이나 툴. 조직 내에서 업무 효율성을 높이거나, 팀 간 협업을 촉진하는 목적

- 사내 업무 관리, HR 시스템, 프로젝트 관리 툴, 데이터 분석 대시보드

B) 외부 프로덕트

- 기업 외부, 즉 고객이나 사용자를 대상으로 제공되는 제품. 매출 증대와 고객 만족도를 목표

- 플랫폼, 앱, 게임, 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SsaS

 

비즈니스 모델

A) B2C

- 기업에서 소비자에게 직접 제품이나 서비스를 판매하는 모델

B) B2B

- 하나의 기업이 다른 기업에 제품이나 서비스를 판매하는 모델

 

프론트 vs 백엔드

A) 프론트엔드

- 사용자가 직접 인터랙션하는 웹사이트나 애플리케이션의 부분

- 사용자 인터페이스(UI) 설계, 사용자 경험(UX) 최적화

B) 백엔드

- 백엔드는 사용자가 직접 볼 수 없지만, 제품이 제대로 동작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서버, 데이터베이스, 애플리케이션 로직 등을 관리하는 시스템

- 사용자에게 보이지 않는 시스템, 어드민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