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M 직무의 특성
- 역할의 범위가 광범위하고 유동적
- 눈에 보이지 않는 산출물(프로덕트의 전략/방향성 수립)
- 상대적으로 PM 직무의 역사가 짧음
PM과 서비스 기획자의 차이
- 서비스 기획자: 사용자 경험과 서비스 설계에 집중
정의: 서비스 전체의 구조와 사용자 경험(UX)을 설계
증점 영역: 사용자 경험과 인터페이스(UX/UI)에 집중
회사: 카카오, 네이버
- PM: 프로덕트의 방향성과 전략을 설정, 비즈니스와 사용자 요구를 균형있게 고려하는 일에 집중
정의: 프로덕트의 방향성, 전략을 수립하고 성공을 책임지는 역할
중점 영역: 비즈니스와 사용자 가치를 고려한 제품 방향성과 전략 설정
회사: 쿠팡, 토스, 우아한 형제들, 당근마켓
- 이름이 아닌 직무를 보고 역할을 판단
- PO: 시장에 없던 혁신, 태동기, 전략적 직관, 0에서 1을 만듦
- PM: 안정성과 효율성 확보, 안정기, 성장기, 현제 데이터 기반, 1에서 100을 만듦
PM의 역할
- 프로덕트 성장을 위한 전략 수립, 수립한 전략을 실행
- 전략 수립을 위해 시장 및 사용자 분석, 프로덕트 전략 수립, 로드맵 수립
- 해관계자들과 협력해서 과제 진행. 효율적 프로젝트 관리, 세부 과제 기획
기업 형태
A) 인하우스: 자체적으로 제품이나 서비스를 개발하고 운영하는 회사 - 카카오, 삼성, LG
- PM: 회사의 장기 비전과 전략에 맞춰 제품을 지속적으로 관리하고 개선
- 사내 부서간 협업. 데이터와 사용자 피드백을 기반으로 한 반복 개선
B) 에이전시: 외부 클라이언트를 위한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회사 - 대기업 산하 또는 클라이언트 상대
- PM: 클라이언트의 요구를 충족하는 단기 프로젝트를 수행
- 완료 후 고객 인도, 외부 클라이언트와 사내 부서 간 협업
기업 크기
A) 스타트업(100인 이하)
- 모든 업무에 광범위하게 참여
예 : 검색,결제,광고 모두 1명의 PM이 담당
B) 대기업(100인 이상)
- 특정 영역에 집중해서 전문화된 역할
예 : 검색팀,결제팀,광고팀 담당 PM이 모두 다름
내부 프로덕트 VS 외부 프로덕트
A) 내부 프로덕트
- 기업 내부에서 사용되는 시스템이나 툴. 조직 내에서 업무 효율성을 높이거나, 팀 간 협업을 촉진하는 목적
- 사내 업무 관리, HR 시스템, 프로젝트 관리 툴, 데이터 분석 대시보드
B) 외부 프로덕트
- 기업 외부, 즉 고객이나 사용자를 대상으로 제공되는 제품. 매출 증대와 고객 만족도를 목표
- 플랫폼, 앱, 게임, 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SsaS
비즈니스 모델
A) B2C
- 기업에서 소비자에게 직접 제품이나 서비스를 판매하는 모델
B) B2B
- 하나의 기업이 다른 기업에 제품이나 서비스를 판매하는 모델
프론트 vs 백엔드
A) 프론트엔드
- 사용자가 직접 인터랙션하는 웹사이트나 애플리케이션의 부분
- 사용자 인터페이스(UI) 설계, 사용자 경험(UX) 최적화
B) 백엔드
- 백엔드는 사용자가 직접 볼 수 없지만, 제품이 제대로 동작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서버, 데이터베이스, 애플리케이션 로직 등을 관리하는 시스템
- 사용자에게 보이지 않는 시스템, 어드민
'IT 서비스 기획' 카테고리의 다른 글
[PM/PO/기획자] PM의 성장을 돕는 레퍼런스 모음 (6) | 2024.12.26 |
---|---|
[PM/PO/기획자] PM의 소프트 스킬과 하드 스킬 (0) | 2024.12.24 |
[PM/PO/기획자] Youtube를 중심으로한 미디어 서비스 고객 여정과 문제 정의 (8) | 2024.12.20 |
[PM/PO/기획자] 팀 과제 발표 준비 및 강의 수강 (0) | 2024.12.19 |
[PM/PO/기획자] 유튜브의 사용자 여정에 따른 문제점 발견 및 해결 과정 (2) | 2024.12.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