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서비스 기획/PM, PO, 기획자

[PO/PM/기획자] 존경받는 리더들이 가지고 있는 커뮤니케이션 패턴

필문(PM) 2025. 2. 21. 09:00
반응형

RPE-VIEW

오늘의 아티클은 '존경받는 리더들이 가지고 있는 커뮤니케이션 패턴 8가지'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존경받는 리더들이 커뮤니케이션 상황에서 어떤 말하기 패턴을 가지고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아티클 소개

https://yozm.wishket.com/magazine/detail/152/

 

존경받는 리더들이 가지고 있는 커뮤니케이션 패턴 8가지 | 요즘IT

훌륭한 커뮤니케이션 능력을 가진 리더들은 어떻게 대화를 나눌까요? 이번 시간 위시켓은 CEO 코칭 전문가로 알려진 Dave Bailey의 글을 바탕으로 리더들의 커뮤니케이션 스킬을 알려드립니다.

yozm.wishket.com

 

저자 정보

저자: 위시켓

https://yozm.wishket.com/magazine/@wishket/

 

요즘 사람들의 IT 매거진, 요즘IT

매일 업데이트되는 요즘 사람들의 IT 이야기! 개발, 디자인, 기획, 다양한 IT 콘텐츠와 함께 성장해보세요.

yozm.wishket.com

 

핵심 내용 요약

중요 포인트

1.INTRO

- 커뮤니케이션 능력은 리더로서 갖추어야 할 중요한 덕목이다. 커뮤니케이션은 '적절한 단어를 선택하는 것'에 대한 문제가 아니다. 이야기를 듣는 사람을 이해하면서 적극적으로 경청해야하고, 사람들에게 진정 어린 공감을 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대화를 잘 주도하는 동시에 바디랭귀지도 적절히 사용할 수 있어야 하며, 높은 직관력도 필요하다. 

 

2. 납득시기키 위해서 '왜'라는 질문으로 시작한다

- 리더가 결정을 내릴 때, 결정에 대한 충분한 이유들을 먼저 설명한다. 따라서 이야기를 듣는 사람들이 결정의 배경과 사정에 대해 이해할 수 있게 되고 과정을 같이 그려가며 결론에 도달하게 된다. 즉, 결정을 논리적으로 이해하고 지지할 수 있게 된다.

 

3. 취약한 부분을 먼저 보여준 후에 상대의 공감을 얻는다.

- 팀원이 리더에게 방향성을 제시해주길 바라는 상황이라고 가정할 때, 리더도 올바른 방향으로 상대를 이끌고 싶지만 정답을 모를 때가 있다. 우선 모든 문제에 대해 정확한 해결책을 가지고 있는 사람은 없다. 따라서 때로는 해답이 없고 어렵다는 인정하는 것으로 팀원과 공감대를 형성할 수 있다. 공감대를 만든 후 비전을 제시한다면, 정답이 아닐지라도 팀의 비전을 찾아볼 수 있다.

 

4. 요청 시에는 NVC를 활용한다

- 피드백을 주거나 무언가를 요청하는 일은 항상 누구에게나 쉽지 않다. 이유는 상대방의 반응을 예측할 수 없기 때문이다. "(관찰한 내용)의 상황일 때, 저는 (어떠한 감정)을 느낍니다. 그 이유는 (보편적인 상황)이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혹시 (요청할 사항)을 해주실 수 있나요?라고 말하는 것이다. 일단 어떻게 생각하고 느끼는지를 이야기해야만 상대방도 그것을 인지하고 어떠한 액션을 취할 수 있다. 마음을 터놓고 팀원과 이야기해보는 시간을 가져보자.

 

5. 요점 설명 시에는 40 단어 규칙을 지킨다.

- 듣기 어려운 말을 할 때 빙빙 돌려서 얘기하는 경우가 있다. 하지만 말이 길어진다고 그 말을 모두 듣는 것이 아니다. 무엇이든지 40 단어 정도로 요약해서 말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에, 요점을 말하고 부연설명을 지양해야 한다. 경제적인 대화가 필요하다.

 

6. 보다 많은 관심을 유도하려면, 이야기 형식으로 말한다.

- 스토리텔링은 리더가 가져야 하는 덕목 중에서도 필수가 되었다. 스토리를 통해 감정을 자극할 수 있다.

 

7. 허락을 구하고, 상황을 통제한다.

- 원하는 것을 얻는 아주 간단하고 강력한 방법이 있다. 사람들에게 회의의 방향에 대한 허락을 구하면 됩니다. 허락을 구하게 되면 청중들을 존중하는 태도를 보여주면서도 동시에 상황을 통제할 수 있는 힘도 얻을 수 있습니다. 

 

8. 코칭을 하려면, 질문을 한다.

- 모든 리더들은 문제가 되는 상황에 직접 뛰어들어서 해결하고 싶은 욕구를 가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리더를 위해서 일해야 하는 사람들의 일을 리더가 하고 있다면 팀은 성장할 수 없다. 리더는 문제 상황에 나서서 일을 수습하는 사람이 아니라 팀원들을 적재적소에 배치하고 이끌어나갈 수 있어야 한다. 

 

9. 경청에 집중하고, 마지막에 이야기한다.

- 토론이나 그룹차원에서 결정을 해야할 때, 다른 사람들의 말을 먼저 들은 다음에 아이디어를 꺼내 놓으면 도움이 뵌다. 다른 사람들의 말을 귀 기울여 들어주는 리더가 된다면 사람들도 더욱 말을 귀 기울여 줄 것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