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PE-VIEW
오늘의 아티클은 'IT 실무 필수 용어 및 기획자 필수 용어'입니다. IT 실무 필수 용어 및 기획자 필수 용어를 살펴보겠습니다.
아티클 소개
IT 실무 용어 모음집① | [패스트캠퍼스x야놀자 PM 부트캠프] :: WBTW
IT 실무 용어 모음집① | [패스트캠퍼스x야놀자 PM 부트캠프]
입사 후 실무에서 접하게 되는 다양한 용어들이 있다. 처음에는 이게 무슨 말이지 분명 한국어는 맞는데, 무슨 말인지 이해하지 못한 경험을 해본 적이 한 번씩은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연차가
wbtw-baku.tistory.com
저자 정보
저자: Study Record / To Be PM
'Study Record/To Be PM' 카테고리의 글 목록 :: WBTW
'Study Record/To Be PM' 카테고리의 글 목록
널리 세상을 이롭게 할 수 있는 사람이 되어가는 과정을 기록합니다
wbtw-baku.tistory.com
핵심 내용 요약
IT 실무 필수 용어
1. 애자일
- 소프트웨어 개발 방법론 중 하나로 반복적이고 점진적인 개발 방법으로 개발 초기부터 고객의 요구사항을 반영하여 빠르게 개발하고 그 과정에서 지속적으로 피드백을 받아 개발하는 방법. 큰 프로젝트를 잘게 쪼개어 진행하기 때문에 요구사항 변경이나 이슈가 생겼을 때 유연하게 대처가 가능하다.
2. 린
- 소프트웨어 개발 방법론 중 하나로 제조 산업에서 비롯되어, 낭비를 최소화하고 가치를 극대화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제품 개발 전 과정에서 고객의 피드백을 수시로 반영하여, 불필요한 작업을 최소화하고 생산성을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
3. 피처(features)
- 제품이나 서비스에서 하나의 기능. 핵심이 되는 기능은 키피쳐라고 함.
4. Feasibility
- 실현가능성, 디자인/개발 리소스, 기간, 예산 등을 현실적으로 따져보았을 때 실현 가능성이 있는지를 의미
5. Fidelity
- 충실도, 묘사 또는 표현의 정도
- Low Fidelity: 최소한의 구성요소는 다 갖추고 있는 정도
- High Fidelity: 완성에 거의 가까운 형태
6. VOC(Voice of Customers)
- 고객의 목소리. 고객으로부터 접수된 피드백이나 불만, 리뷰
7. CTA(Call To Action)
- 사용자의 반응 또는 행동을 유도하는 행위나 요소(버튼, 링크, 배너)
8. UGC(User Generated Content)
- 사용자가 생성한 컨텐츠(틱톡 등). 사용자는 다양한 콘텐츠의 생산과 소비를 통해 서비스에 적극적으로 참여 활동을 할 수 있고, 다른 사용자들의 서비스에 대한 신뢰를 높여주는 기능을 하기도 한다.
기획자를 위한 필수 용어
1. Wireframe(와어어프레임)
- 초기 기획단계에서 주로 제작. 각 페이지들의 정보와 UI 요소 등에 대한 배치를 표현한다. 와이어프레임에 시나리오, 디스크립션(콘텐츠 설명) 등이 첨부되면 스토리보드가 된다.
2. Storyboard(스토리보드)
- 서비스의 각 페이지 구성요소나 디스크립션(컨텐츠 설명) 및 화면의 이동 흐름, 로직 등을 최종 산출 문서를 의미한다. 또한 디자이너/개발자가 업무를 수행하기 전에 이해해야 할 작업 지시서.
3. Flow Chart(플로우 차트)
- 서비스 흐름을 특정한 순서도 기호를 사용해 도식적으로 표현한 다이어그램
4. Mockup(목업)
- 실제품을 만들어 보기 전, 디자인 검토를 위해 실물과 비슷하게 시제품을 제작하는 작업의 과정과 결과물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최종 버전의 디자인이 되는 경우도 많다.
5. Prototype(프로토타입)
- 서비스에 대한 기능 및 사용성 등의 테스트를 위해 제작되는 동적인 모형. 디자이너/개발자 사이의 시각적인 커뮤니케이션 툴이 되기도 함. 와이어프레임의 플로우를 연결해서 기능을 시연하는데 활용.
6. IA(Information Architecture)
- 정보구조도(메뉴구조도)로 제품, 서비스를 구성하는 정보의 구조와 우선순위, 흐름의 설계를 포함한다.
7. UT(Usability Testing)
- 서비스를 특정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사용할 때에 어느 정도 사용하기 쉬운가를 말하는 용어.
8. A/B Test
- 시장반응을 살펴보기 위해 A그룹, B그룹으로 나누어 제품이나 서비스 테스트를 진행하고 최적의 안을 찾는 방식.
9. MVP(Minimum Viable Product)
- 최소 기능 제품으로 기존의 시제품 하고는 다르게 아이디어만 반영한 미완성 제품이지만 사용자에게 그 가치를 증명할 수 있는 제품
'IT 서비스 기획' 카테고리의 다른 글
[PM/PO/기획자] 기획자가 활용할 수 있는 오픈 API 및 사례 (2) | 2025.02.10 |
---|---|
[데이터 분석] 3. 요구사항 분석(PRD), 정보 구조도(IA), 서비스 정책서, 에러 케이스 정의, 상세 기획(스토리 보드) (0) | 2025.02.09 |
[데이터 분석] 2. PM 실무 소프트 스킬 - 킥오프, 공유, 회고 (0) | 2025.02.08 |
[IT Biz] PMI 보고서에 따른 PM의 AI활용 동향 및 전망 (4) | 2025.02.07 |
[데이터 분석] 유저 데이터 분석의 정의 및 장점과 분석 기법들 (0) | 2025.02.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