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PE-VIEW
오늘의 아티클은 '주니어 서비스 기획자에게 필요한 진짜 개발 지식(1)'입니다. 기초 개발 지식 중 기획자가 기본적으로 알아야 할 것들에 대해 다루고 있으며, 개발 환경이 어떻게 돌아가는지에 대해 배웁니다.
아티클 소개
https://brunch.co.kr/@newbyeol/11
주니어 서비스 기획자에게 필요한 진짜 개발 지식 (1)
신입 서비스 기획자가 프로그래밍 언어보다 먼저 배워야 할 것 | '프로그래밍 언어를 배워야 하나? 파이썬 많이들 배우던데...' 나는 서비스 기획자/Product Manager애게 필요한 개발 지식 수준에 대
brunch.co.kr
저자 정보
저자: 양새별
https://brunch.co.kr/@newbyeol
양새별의 브런치스토리
기획자 | 목적이 없는 것들을 사랑합니다. 머리 속에서 정리 되지 않는 것들을 글로 남깁니다.
brunch.co.kr
핵심 내용 요약
Operating System / 프로그램
(1) 컴퓨터는 무엇으로 구성되어 있을까
- 컴퓨터는 소프트웨어, 하드웨어로 나눠져 있으며, 소프트웨어가 사용자가 원하는 작업을 하드웨어가 이해할 수 있는 언어로 처리하는 역할을 한다.
(2) 프로그래밍 언어는 왜 이렇게 많을까?
- 코딩은 컴퓨터가 알아들을 수 있는 언어(코드)를 작성하여 명령하는 것이다. 그런데 목적과 용도에 따라 특화된 프로그래밍 언어가 다르기 때문에 사용자는 각자 자신에게 맞는 언어를 선택할 필요가 있다. 데이터 분석은 파이썬, 웹사이트 개발은 자바스크립트, 안드로이드 앱은 자바 or 코틀린을 선택한다.
(3) 프로그래밍 언어는 왜 계속 업데이트 될까?
-초기 컴퓨터와 소통하는 방법인 0,1을 조합한 명령어를 기계어라고 한다. 이보다 쉬운 언어가 계속하여 개발되고 있다. 효율성의 증대라는 큰 틀 안에서 앞으로도 계속 업데이트가 될 예정인 것이다.
네트워크 / 클라이언트, 서버
(1) 웹은 어떻게 이루어져 있고 어떻게 동작할까?
- 기본적으로 요청-응답의 방식으로 작동한다. 따라서 인터넷이 작동되기 위해서 필요한 컴퓨터의 최소 개수는 2대이다. 컴퓨터 1(내가 사용하는 것)에서 필요한 정보를 컴퓨터 2에게 요청해서 해당 정보를 받는 것이 인터넷의 기본 원리인 것이다.
- 우리가 사용하는 컴퓨터 또는 웹브라우저를 '클라이언트'라고 하고, 우리에게 정보를 주는 또 다른 컴퓨터를 '서버'라고 한다. 즉, 클라이언트가 정보를 요청하고 서버가 이에 응답하여 해당 정보를 주는 구조이다.
(2) 반응형 코딩
- 핸드폰, 태블릿 pc, 노트북 등 다양한 디바이스 환경에 유연하게 대응하는 웹 개발 방법이 반응형 코딩이다. 1개의 웹페이만으로 각 디바이스 화면에 맞게 반응하고 동작하는 것이다.
(3) 앱과 웹에 대한 질문이 달라야 하는 이유
- 웹과 앱은 겉모습이 같더라도 다르게 구현되는 경우가 많다. 기본적으로 웹, 안드로이드, iOS 각 환경마다 개발하는 방법이 다르기 때문이다. 웹과 앱 모두 클라이언트-서버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는 것은 같지만 개발 과정은 상이하다. 그중 가장 큰 차이점은 업데이트 과정의 유무와 이에 대한 즉각적인 변경 가능 유무에 따라 다르다.
API & JSON
(1) API 문서는 왜 있죠?
- API(Apl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는 요청을 하고 응답을 받기 위해 정의된 룰이다. 즉, 컴퓨터 시스템끼리 정보를 교환할 수 있게 하는 형식 or 창구이다. 코드들끼리 서로 소통하기 위해 지정된 형식으로 명령, 요청할 수 있는 수단이 필요하기 때문에 API가 존재한다. 인간 세계에서는 일종의 '주문서'에 비유할 수 있다.
(2) JSON이 뭔데요?(JavaScript Object Notation. 제이슨)
- JSON은 웹상에서 서로 다른 시스템 간 데이터를 주고받을 때 데이터를 표현하는 방법이다. 예를 들어 엑셀에서 함숫값을 얻기 위한 수식 같은 것이다.
(3) 요청과 응답을 주고받을 때의 형식
- '정해진 절차에 따라 텍스트 메시지를 적어 보낸다'라고 생각하면 됨.
'IT 서비스 기획' 카테고리의 다른 글
[데이터 분석] A/B테스트 해석에 필요한 기초 통계 개념 5가지 (2) | 2025.01.29 |
---|---|
[데이터 분석] 데이터 기반 의사결정의 장점 (0) | 2025.01.28 |
[데이터 분석] A/B테스트를 할 때 정말로 기대하는 것 3가지 (2) | 2025.01.26 |
[UX 기획 및 리서치] 5. 사용성 테스트의 개념과 중요성, 준비-실행-결과 정리, 휴리스틱 평가 방법 (2) | 2025.01.25 |
[PM/PO/기획자] 서비스 기획의 필수 선결조건 (0) | 2025.01.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