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서비스 기획

[PM/PO/기획자] 서비스 기획의 필수 선결조건

필문(PM) 2025. 1. 24. 12:00
728x90
반응형
SMALL

RPE-VIEW

- 오늘의 아티클은 '서비스 기획 시작하기'이라는 제목의 아티클입니다. 서비스 기획에 있어서 어떤 것이 가장 먼저 선결조건으로서 충족되어야 하는지에 대해 말합니다. 

 

아티클 소개

https://brunch.co.kr/@tsp/14

 

서비스 기획 시작하기

04-01. 내가 만들 서비스 이해하기 | 모든 창업자들이 처음 서비스를 도안하고 시작하실 때는 대부분이 염두하고 있는 서비스에 관하여 "이 정도 서비스라면 많은 사람들이 사용할 거야."라는 간

brunch.co.kr

 

 

저자 정보

저자: 박세호

- 프로덕트매니저 기획자

https://brunch.co.kr/@tsp

 

박세호의 브런치스토리

프로덕트매니저 기획자 | 안녕하세요, 스타트업에서 일하는 박세호 라고 합니다. 프로덕트를 만드는 것에 대한 전문적이고 기술적인 이야기들과 가치를 찾는 과정과 고찰을 이야기 하고 싶습니

brunch.co.kr

 

 

핵심 내용 요약

서비스 기획 시작하기

저자는 얼마나 초기 창업자들과 비전문가들이 서비스 개발을 쉽게 생각하는지에 대해 말하며 서두를 시작 합니다. 그리고 그 이유를 다음과 같이 3가지로 추측합니다.

 

1. 한 번도 서비스를 제작해 본 경험이 없다

2. 서비스 기획과 계획에 대한 디테일 한 점들을 깊이 생각해 보지 않았다.

3. 서비스 제작을 하면서 거치게 되는 과정에 대하여 생각해 보지 않았다.

 

하지만, 어떤 것이든 주먹구구식으로 만든 서비스는 제대로 시작할 수 있는 서비스가 아니며, 서비스를 배포하며 마주하게 되는 수많은 장애 요소들 때문에 더 빨리 지칠 것이라고 말합니다.

 

이를 위해 선결되어야 하는 조건은 견고한 Framework이며, 이를 위해서는 자신의 서비스를 이해하는 것이 먼저 충족되어야 한다고 저자는 말합니다. 즉, 서비스에 대한 자신의 이해를 바탕으로 만든 프레임워크가 타인에게도 설명 가능할 정도의 수준임을 말합니다. 

 

저자는 이러한 조건 충족에 어려움을 겪을 것이 예상되는 사람들에게, '자신의 서비스를 육하원칙에 따라 서술해 보기'를 추천합니다. 예를 들면 (서비스명)은/는 (누구)에게 (어떤 상황)에서 (어떤 서비스)을/를 (어떤 형식으로) 제공 (어떤 갈등 상황)을/를 (어떤 방법)을/를 통하여 해결해 줄 수 있는 서비스이다.라는 식입니다.

 

마무리로 저자는 서비스를 만드는 것이 하나의 철학보다는, 어떤 서비스를 만들어서 현재의 어떤 갈등 상황이나 장애요소들을 해결해 나가겠다는 명확한 목표 설정과 시장 설정의 배경이 기반이 되어야 시작할 수 있다고 합니다. 즉, 육하원칙에 따라 서비스를 설명할 줄 아는 것이 진정한 IA와 서비스의 시작이라고 저자는 말합니다.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