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PE-VIEW
- 오늘의 아티클은 '프로덕트 매니저로써, 내가 업무에서 ChatGPT를 사용하는 방법'이라는 제목의 아티클입니다. 기술 스타트업에 다니는 원문 저자의 글을 번역한 글입니다. 저자는 chat gpt를 통해 생산성을 높이고 경쟁력을 갖출 수 있기 때문에, 생성형 AI를 직접 사용해 보고 숙련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고 말하고 있습니다.
아티클 소개
저자 정보
저자: Joy Zhang
- 초기 단계의 기술 스타트업의 프로덕트 매니저
https://joooyz.medium.com/about
핵심 내용 요약
기술적 개념 이해하기
저자의 일은 엔지니어와 긴밀히 협력하고 엔지니어링 결정에 대한 절충안을 이해하는 것입니다. 특히 사용자가 마주하는 제품 경험이나 배포 일정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에 대해서 다룹니다. 모든 새로운 기술을 공부할 시간이 없지만, ChatGPT가 내가 알아야 할 내용을 알려주고 엔지니어들에게는 아주 기초적이라 설명이 필요한지도 모르는 개념에 대해 물어보면서 스스로 바보 같은 기분을 느끼지 않아도 된다고 합니다.
사용자 스토리 전개하기
Chat GPT가 구축할 기능을 제안하는 것은 아니지만, 많은 일반적인 기능들은 잘 설명할 수 있습니다. 특히 새로운 제품을 개발할 때 사용자 스토리 관점에서 이런 표준 기능들이 많이 필요합니다.(예를 들면 로그인 페이지, 공유, 메시징, 삭제 등). 당연히 검토는 필요하지만, 사용자 스토리가 나름 꼼꼼한 공식을 따른다는 것을 생각하면 ChatGPT는 대부분 일을 잘하는 편입니다. ChatGPT는 실제로 내가 포함하는 것을 잊어버린 중요한 승인 기준을 제안하는 데도 적합하다는 것입니다.
이해관계자를 위한 메시지 초안 작성하기
저자는 이해관계자에게 메시지를 보내기 전에 ChatGPT를 사용해 말투를 확인하고, 언어를 좀 더 부드럽게 하고, 메시지를 다듬습니다. 또한 이메일 초안을 작성하기에 좋은 템플릿도 획득할 수 있습니다.
데이터 분석하기
ChatGPT에게 '내 데이터를 분석해 줘' 또는 '이 데이터에 대해 주요 인사이트를 줘'처럼 요청하는 것이 (아직) 그렇게 간단하지는 않습니다. 나는 내가 데이터를 어떻게 처리하기를 원하는지 알고 있지만 ChatGPT가 나를 위해(또는 사용 중인 언어가 무엇이든) 그 데이터를 파이썬으로 번역해 주기를 원합니다. ChatGPT가 가끔 쓸모없는(하지만 설득력은 있는) 코드를 만들기도 하기 때문에 이 작업에 대해서는 시작할 때 기본 개념에 대해 이해하고 있어야 합니다.
프로토타입 만들기
ChatGPT가 나온 이후로 스스로 코드를 작성하지 않아도 됩니다. 엔지니어에게 디버깅이나 프로토타입의 변경을 의존하지 않아도 위 작업을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습니다.
'IT 서비스 기획' 카테고리의 다른 글
[UX 기획 및 리서치] 5. 사용성 테스트의 개념과 중요성, 준비-실행-결과 정리, 휴리스틱 평가 방법 (2) | 2025.01.25 |
---|---|
[PM/PO/기획자] 서비스 기획의 필수 선결조건 (0) | 2025.01.24 |
[IT Biz] 문과생의 Chat GPT와 Replit을 활용한 서비스 기획부터 배포까지 (2) | 2025.01.22 |
[UX/UI 디자인] UX 기획자, UI 디자이너, GUI 디자이너의 역할 비교 (4) | 2025.01.21 |
[IT Biz] 쿠팡 파트너스 광고 규제 및 향후 방향성 정리 (2) | 2025.01.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