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가게 요청사항’ 기능 개선
배달의 민족의 가게 요청사항을 프로덕트로 하여 기능 개선안을 작성하여 보았습니다.
아래 노션링크로 들어가시면 더 편하게 보실 수 있습니다.
https://foul-parrotfish-755.notion.site/1703c6a02ff58035bd0fdc74176efeb0
‘가게 요청사항’ 기능 개선 | Notion
6조 정필문(PM_1기) 필수문제
foul-parrotfish-755.notion.site
1. 서비스 이해
1) 주요 사용자
<aside> 💡
- 문제 상황 속 프로덕트는?
- In App 탐구: 배달 품목(조리 음식)을 기준으로 2가지 서비스로 분류함
- ‘배달의 민족’은 서비스 비전 3.0 부터 음식 뿐만 아니라 모든 것을 ‘배달’하도록 서비스 영역을 확장해나가고 있다.
- (1) 택배 서비스에는 가게 요청사항 항목X. 대신 배송과 관련된 배송 시 요청 사항이 존재 → 문제 속 프로덕트 범위에서 제외
- (2) 배달 서비스에는 가게 요청사항 항목O. 그러나 요식업과 관련된 옵션 항목(일회용품 사용 여부, 기본 반찬 수령 여부)이 없고 문제 상황에서 제시된 ‘리뷰 이벤트’ 등의 상황이 발생할 여지가 없음 → 문제 속 프로덕트 범위에서 제외
- ∵ 장보기/쇼핑의 주문은 (1)택배 서비스와 (2)배달 서비스를 제공
- 배달 품목: 디지털 기기, 꽃, 주류 등
- 배달 품목: 조리 음식
</aside>
주요 사용자는 누구?
- 가게 요청사항을 주로 사용하는 사람은?
- 고객(구매자)과 사장님(판매자)
- 라이더(배달)의 경우 → 배달 요청 사항 란이 별도 존재하여 제외
- 고객 페르소나김민지(27세 여) 서울
- 배경
- 서울 논현 오피스텔(1인 가구)
- 중견 IT 기업 사무직(야근 많음)
- 목표
- 퇴근 후 빠르고 간편한 식사
- 퇴근 시간에 맞춘 정확한 도착 시간
- 다양한 주문옵션 선호
- 성격
- 다소 내향적
- 전화보다 텍스트 선호(디지털 기기로 소통하는 것에 익숙함)
- 사용 시나리오
- 점심 전, 자주 가는 샐러드 가게에서 포장 주문 - (요청사항)연어 셀러디에 렌치 소스 추가, 카페 라떼 두유 변경
- 야근 전, 동료들과 함께 곱창 배달 주문 - 수저 인원+1추가, 쌈장을 소금장으로 변경
- 퇴근 후 저녁, 집 도착 시간에 맞춰 항정살 덮밥 주문 - 양파 빼기
- 선정이유
- 배달의 민족은 20-30을 타겟팅 하고 있다
- 팀 막내로서 음식 주문을 도맡아 하는 경우
- 요리 경험이 없는/ 요리 시간이 부족한 초보 자취생들인 사회 초년생들
- 배경
- 사장님 페르소나박명수(50세 남) 서울
- 배경
- 서울 논현 4인가구 가장(1남 1녀)
- 프랜차이즈 분식집(24시간)
- 배민에 등록하여 배달 서비스 운영중
- 목표
- 폭 넓은 고객층 확보
- 효율적인 주문 관리 시스템
- 성격
- 외향적. 배운 것에 한하여 제한적으로 디지털 기기 사용가능
- 사용 시나리오
- 출근 후, 리뷰와 평점 확인 - 감사 또는 사과 답글 달기
- 주문 요청사항 및 라이더 도착 시간에 맞춰 조리 시작
- 마감 전, 매출 및 주분 현황 등 종합적 확인
- 선정이유
- 통계에 따르면 일반음식점 사장님들의 평균 나이는 55.4세
- 서울 음식점 매출액이 전국의 23% → 어플 사용량도 많을 것으로 추측
- 프랜차이즈 음식점이 요식업계 중 36%을 차지하고 프랜차이즈 음식점의 경우 배달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는 경우가 대다수이기 때문에 선정
- 배경
2) 핵심 가치
페르소나에 비춰본 사용자 핵심가치
- 고객
- 요청 사항을 빠르고 정확하게 수행하는 배달 서비스
- 요청 사항을 통한 다양한 주문 옵션 구현
- 사장님
- 고객 요청 사항 반영한 가게 운영 _고객 취향 파악, 메뉴 개발, 고객 서비스 파악
- 앱 서비스를 통한 고객 요청 사항의 효율적 관리
3) 사용자 경험
<aside> 💡
목표 UX: ‘시간’과 ‘품질’에 대한 약속을 지키는 물류 경험(회사소개서 3p.)
</aside>
-
- 배달/포장
- 60자 내로 작성(줄바꿈 불가)
- 일회용품 선택 기능
- 주문하기 → 가게 요청사항(클릭)
- 기본반찬 선택 기능(기본반찬 제공 가게에 한함)
- 장보기/쇼핑
- 택배 서비스: 대용량특가, 배달전국별미 등 글자수 제한 없음
- 배달 서비스: 배달/포장의 경우에서 일회용품, 기본반찬 서비스 제외
- → 문제 상황 속 프로덕트는? 의 정의에 따라 1번 항목의 UX만 고려
- User Journey Map
-
- 요청 사항 발생
- 고객: 메뉴 탐색 및 선택 후 필요 요청 사항 발생
- EX) 토핑 추가/제외, 맵기 조절, 장부 결제
- 요청 사항 작성
- 고객: 글자 수 및 리뷰 이벤트 조건 등 형식에 맞게 작성
- 요청 사항 반영 - Aha Moment
- 사장님: 요청 사항 확인 및 수락/거부
- 수락 시 요청 사항 반영하여 음식 전달
- 거부 시 요청 사항 반영X
- 고객: 요청 사항이 반영된 음식 수령
- 이후 반응 예시: 리뷰 작성(만족 여부),
-
2. 문제 정의
<aside> 💡
- 현상발견: 가게 요청사항 은 1개의 요청만 저장 가능 → 사용자가 매번 새롭게 작성하는 불편함
- 결과
- 고객: 특정 문구 작성(리뷰 이벤트) or 가게 별 다른 요청사항 반복 입력의 불편함 가중 → 서비스 운영에 대한 불만 및 해당 가게 결제 불편 사항으로 인한 이탈가능성
- 사장님: 정확한 요청사항 미반영 or 결제 속도 저하 및 불편으로 인한 고객 이탈 가능성 </aside>
원인: 5 Whys(With logic tree)
- 문제: 사용자가 가게 요청사항을 매번 새롭게 작성하는 것에 불편함을 느낀다
- 1차 why 왜 불편함을 느끼는가?
- 주문 속도 저하 2)반복 입력에 대한 피로감
- 2차
-
- why? 왜 주문 속도가 저하 되었는가? 저장한 문구를 바로 작성하는 것에 비해 직접 작성하는 시간이 소요된다. 지난번 요청한 사항이 기억이 나지 않을 경우 주문을 검토하는 시간도 발생한다
- why? 반복 입력은 왜 피로한가? 고객이 동일한 작업(주문)을 매번 함에도 불구하고 반복된 노력(작성)을 해야 하기 때문
-
- 3차
-
- why? 왜 작성하는 데 시간이 걸리는가? 자신이 사용하는 모든 요청 사항을 개인이 기억하기 힘들다. 특히 반복된 단체 주문의 경우(회사 팀 식사 등)는 기억하기 힘들다. 때문에 매번 확인 후 작성해야 한다
- why? 왜 반복된 작성을 해야만 하는가? 요청 사항은 고객이 필요한 경우, 작성 해야만 하기 때문이다
-
- 4차
-
- why? 왜 기억하기 힘든가? 자신의 작성한 요청 사항을 따로 기록하지 않는다
- why? 요청 사항을 왜 작성해야만 하는가? 가게에 자신이 필요한 사항을 알기기 위해서
-
- 5차
-
- why? 왜 기록하지 않는가? in app 외에 가게 별 요청 사항을 정리하는 데에 자원이 필요하기 때문
- why? 왜 알려야만 하는가? 왜 알리는가? 음식을 먹는데 필요한 요소를 얻거나, 불편한 점을 제거하려고
-
핵심 문제 정의
- 페인포인트: 가게 요청사항 을 APP내에서 저장 및 기록할 수 없고, 사용자들은 개인적으로 요청사항을 따로 정리/기록 해두지 않아 요청 사항을 매번 새로 작성하게 된다
- 조건: 2)로 부터 도출 → 가게 요청사항은 필요한 경우 반드시 사용해야 한다
- 서비스 운영에 미치는 영향
- 페인포인트 미해결 시 VoC 증가 → 브랜드 이미지 저하 → 경쟁력 감소
- 새로 작성하는 것을 잊고 이전 내용 그대로 주문하는 경우 → 요청 내용 오기로 인한 소통 비용 발생
3. 가설 설정
<aside> 💡
가설 : 가게 요청사항의 편의성을 높이면 유저 이탈이 발생하지 않을 것이다
- 편의성
- 가게 요청사항을 새로 작성하는 데 드는 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
- 작성한 요청사항을 가게에 정확하게 전달하여 반영하기 </aside>
4. 해결 방안
해결 방안 1
- IF 요청 사항이 가변적인 경우 → 가게 별 요청 사항 저장 기능 추가
- 해설: 개인 별로 가게에 대한 요청 사항이 다를 수 있는 경우 = ‘가변적 경우’라 한다
- ex) 알러지 - 알러지는 개인마다 보유하는 것이 다르다 → 요청 사항이 사람 별로 다르게 적힌다 → (복숭아 알러지 - 복숭아 토핑 제거 요청), (피망 알러지 - 피망 토핑 제거 요청)
- 가게 별로 요청 사항을 저장할 경우 → 가게 요청 사항을 새로 작성하는데 드는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 가능하다
<aside> 💡
효율성 비교
- 요청 사항을 작성한 횟수 = 소모 자원
- 기존 방식(매번 새로 요청사항을 작성하는 경우)
- 총 주문 횟수 - 요청 사항 없는 주문 횟수 - 저장한 요청 사항(1개)을 사용한 경우 = 요청 사항을 작성한 횟수
- 가게 별 저장 기능 추가 시
- 총 주문 횟수 - 요청 사항 없는 주문 횟수 - 저장한 가게 별 요청 사항을 사용한 횟수 = 요청 사항을 작성한 횟수
- 기존 방식(매번 새로 요청사항을 작성하는 경우)
- 가게 요청사항을 1개만 저장할 수 있는 경우보다 가게 별로 다수의 요청 사항을 저장할 수 있는 경우에 요청 사항 작성 횟수가 작기 때문에(자원 소모가 덜하기 때문에) 2번 케이스가 더 효율적이다 </aside>
- 가게 별 요청 사항 기능 추가 - 도입 방식
- 가게 별 문구 라이브러리 개설
- 해당 가게의 요청 사항 기록 → 다수 저장 가능
- 해당 가게에서만 보임 및 사용 가능 → 다른 가게의 라이브러리가 보일 경우 유저 혼란 증가
- 가게 별 문구 라이브러리 개설
해결 방안2
- IF 요청 사항이 고정된 경우 → 요청 사항 자동 반영 시스템
- 해설: 개인 별로 가게에 대한 요청 사항이 동일한 경우 = ‘고정적 경우’라 한다
- ex) 수저/포크 필요, 기본 반찬 필요, 리뷰 이벤트 제공품
- 작성 문구 내용에 개인차가 없다 → 제한된 범위 내에서 요청하기 때문
- 메뉴 선택 단계에서 선택하였을 경우 별도의 요청 사항 작성 없이, 가게 요청사항에 반영되는 UI 개발
- 사장님의 입장에서도 고정된 문구로 요청 사항을 전달 받아, 소통의 정확도가 향상됨
참고 자료 모음
- https://www.law.go.kr/LSW//lsLawLinkInfo.do?lsJoLnkSeq=900232309&chrClsCd=010202&lsId=004097&print=print - 요식업 분류
- https://www.woowahan.com/company/culture - 비전 3.0
- https://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114&tblId=DT_114054_001&vw_cd=&list_id=00000041&scrId=&seqNo=&lang_mode=ko&obj_var_id=&itm_id=&conn_path=R1&path= - 요식업 사장님 나이 통계
- https://www.atfis.or.kr/fip/front/M000000269/stats/franchise.do - 프랜차이즈 요식업장 수
- https://file.notion.so/f/f/518a4862-bc10-4c24-be99-6db4a15a1d8b/7e3f9ed0-1c8f-4f20-a838-3cded154f0f1/우아한청년들_회사소개서.pdf?table=block&id=a140206c-e3af-4696-8190-d749b1e1158c&spaceId=518a4862-bc10-4c24-be99-6db4a15a1d8b&expirationTimestamp=1736179200000&signature=nEdM5elap4zpcn5oquM00N2sV964lrk-O5Pjh6O2sRI&downloadName=우아한청년들+회사소개서.pdf - 회사소개서
https://www.openads.co.kr/content/contentDetail?contsId=8753
반응형
'IT 서비스 기획 > PM, PO, 기획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PM/PO/기획자] PM이 Chat GPT를 업무에서 활용하는 방법 (4) | 2025.01.23 |
---|---|
[PM/PO/기획자] IT업계 속 PM의 정의와 역할 (2) | 2025.01.18 |
[PM/PO/기획자] 배달의 민족 '가게 요청사항' 문제 사항 분석 (0) | 2025.01.04 |
[PM/PO/기획자] 서비스 기획에서의 문제 정의 및 가설 수립&검증 + GPT4 활용 방안 (0) | 2025.01.02 |
[PM/PO/기획자] 서비스 기획에서 문제정의와 해결 및 목표 설정 (0) | 2024.12.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