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IT 서비스 기획/데이터 분석 9

[데이터 분석] 4. 'Why'가 중요한 이유, 커뮤니케이션의 중요성, 동료를 논리적으로 설득하는 법, 기록하고 공유하는 습관

INTRO오늘은 [데이터 분석] 네번째 시간입니다. 오늘은 PM 실무 소프트 스킬에 대해 'Why'가 중요한 이유, 커뮤니케이션의 중요성, 동료를 논리적으로 설득하는 법, 기록하고 공유하는 습관 순으로 알아보겠습니다. 1. Why가 중요한 이유PM에게 'Why'가 왜 중요할까why: 의사 결정을 내리는 데 필요한 이유들을 묻는 행위PM에게 'Why'가 왜 중요할까요?- 명확한 목표를 설정하고,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며, 중요한 의사 결정을 내릴 때 필요한 사고 방식1) 문제의 근본 원인 파악"왜?"라는 질문을 반복함으로써 문제의 근본적인 원인을 파악할 수 있음2) 목표의 명확화"왜?"라는 질문은 프로젝트의 목표를 명확히 할 수 있음3) 의사결정"왜?"라는 질문은 의사 결정의 기준을 제공 → 중요한 결정..

[데이터 분석] 3. 요구사항 분석(PRD), 정보 구조도(IA), 서비스 정책서, 에러 케이스 정의, 상세 기획(스토리 보드)

INTRO오늘은 [데이터 분석] 세번째 시간입니다. 오늘은 PM 실무 소프트 스킬에 대해 요구사항 분석(PRD), 정보 구조도(IA), 서비스 정책서, 에러 케이스 정의, 상세 기획(스토리 보드) 순으로 알아보겠습니다. 1. 요구사항 분석(PRD)요구사항 분석 및 요구사항 정의서(PRD) 요구사항 분석은 프로젝트나 제품 개발의 핵심 과정으로, 개발팀이 어떤 제품을 만들 것인지를 명확히 정의하는 단계입니다. 요구사항을 구체적으로 파악하고, - 이를 문서화하여 - 각 팀(개발, 디자인, QA 등)이 동일한 목표를 가지고 작업할 수 있도록 공유합니다.PRD는 요구사항을 체계적으로 정리한 문서로, 프로덕트 개발 과정에서의 지침서 역할을 합니다. 이 문서가 잘 작성되면 개발 팀은 물론, 이해관계자들 간의 커뮤니케..

[데이터 분석] 2. PM 실무 소프트 스킬 - 킥오프, 공유, 회고

INTRO오늘은 [데이터 분석] 두번째 시간입니다. 오늘은 PM 실무 소프트 스킬에 대해 킥오프, 공유, 회고 순으로 알아보겠습니다.시작 단계(킥오프)킥오프: 프로젝트의 첫 단계로, 프로젝트가 공식적으로 시작되는 순간 킥오프 미팅에서 다루어야 할 핵심 요소들1) 프로젝트 목표 : 무엇을 달성할 것인지- 목표는 프로젝트가 완료된 후 무엇을 달성하고자 하는지를 명확히 정의하는 부분입니다. 이 목표는 프로젝트 전반에 걸쳐 팀원들에게 방향성을 제공하고, 이해관계자들의 기대를 관리하는 데 중요합니다.2) 프로젝트 범위 : 프로젝트에서 다룰 작업과 다루지 않을 작업- 범위는 프로젝트에서 다루게 될 작업과 다루지 않을 작업을 명확히 구분하는 부분입니다. 이 항목을 명확히 해두면 후속 작업 중 범위 외의 일이 발생했을..

[데이터 분석] 유저 데이터 분석의 정의 및 장점과 분석 기법들

RPE-VIEW오늘의 아티클은 '유저 데이터 분석? 그거 중요한거야?'입니다. 유저 데이터 분석이 비즈니스에 어떤 도움을 주는지 그리고 유저 데이터 분석을 어떻게 하는지에 대해 알아보고, 유저 데이터 분석을 위해 자주 쓰이는 세그먼트 분석, 코호트 분석, 퍼널 분석, 이벤트 추적 등에 대해 다룹니다.아티클 소개유저 데이터 분석? 그거 중요한거야? 유저 데이터 분석? 그거 중요한거야?유저(사용자) 데이터 분석이 비즈니스에 어떤 도움을 주는지 그리고 어떻게 해야 하는지 알아봅니다. 유저 데이터 분석을 위해 자주 쓰이는 방법인 '세그먼트 분석'과 '코호트 분석', '퍼널 분석'community.heartcount.io 저자 정보저자: HC COMMUNITYHEARTCOUNT COMMUNITY HEARTCOUN..

[데이터 분석] 1.데이터/지표의 이해, 데이터의 중요성, 로그의 개념 및 설계 기초, 데이터 분석 방법

INTRO데이터 분석은 PM의 실무에서 요구되는 능력입니다. 본 아티클에서는 [데이터 분석]에 대하여 5차시로 나누어 다룰 예정이며, 데이터가 어떻게 생성되고 활용되는지, 이를 통해 PM이 하는 일은 무엇인지, PM은 어떤 역량을 갖추어야 하는지에 대해 다룹니다.데이터/지표의 이해데이터: 그냥 수집된 정보로. 어떤 의미나 해석이 없는 상태입니다.정량적 데이터 : 숫자로 표현할 수 있는 데이터정성적 데이터 : 숫자로 측정할 수 없는 정보로, 질적이고 주관적. 주로 느낌, 의견, 태도, 경험 등 비수치적이고 언어적 표현으로 나타낼 수 있는 정보 지표데이터에서 중요한 정보를 뽑아낸 결과. 데이터를 가공하거나 해석해서 만들어짐 지표는 데이터를 바탕으로 의미를 부여한 것 데이터 중요성의사결정의 근거 제공- 데이터..

[데이터 분석] A/B테스트의 설계, 수행, 해석에 관한 참고사항 4가지

저자: 플래터그로스 PMhttps://yozm.wishket.com/magazine/@platter/ 요즘 사람들의 IT 매거진, 요즘IT매일 업데이트되는 요즘 사람들의 IT 이야기! 개발, 디자인, 기획, 다양한 IT 콘텐츠와 함께 성장해보세요.yozm.wishket.com RPE-VIEW오늘의 아티클은 'A/B테스트 제대로 이해하기: ③ A/B테스트 계산기의 세팅과 해석'입니다. A/B테스트에 관한 3번째 시간입니다. A/B테스트의 설계, 수행, 해석에 관한 참고사항 4가지에 다루고 있습니다. 아티클 소개https://yozm.wishket.com/magazine/detail/1656/ A/B 테스트 제대로 이해하기: 3 A/B 테스트 계산기의 세팅과 해석 | 요즘IT앞선 두 편의 글에서, ‘실제 A..

[데이터 분석] A/B테스트 해석에 필요한 기초 통계 개념 5가지

RPE-VIEW오늘의 아티클은 'A/B테스트 제대로 이해하기: ②A/B 테스트를 위한 기초 통계 이해하기'입니다. A/B테스트에 관련한 2번째 시간입니다. 이번에는 A/B테스트에를 이해하는데 필요한 기초 통계 개념에 대해 다룬다.아티클 소개https://yozm.wishket.com/magazine/detail/1644/ A/B 테스트 제대로 이해하기: 2A/B 테스트를 위한 기초 통계 이해하기 | 요즘IT앞선 글에서 A/B 테스트를 설계하거나 수행할 때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방안으로 A와 B 중 어느 게 더 나은가?’ 뒤에 숨은 진짜 질문에 관해 살펴보았다. 이번 글에서는 이러한 우리의 진짜 질yozm.wishket.com  저자 정보저자: 플래터그로스 PMhttps://yozm.wishket.com..

[데이터 분석] 데이터 기반 의사결정의 장점

RPE-VIEW오늘의 아티클은 '데이터 기반 의사결정의 장점'입니다. 해외 'Prodevs Tech' 기업의 블로그 글을 번역한 컨텐츠이며, 직관과 비교하여 데이터 기반의사 결정의 장점을 다루고 있습니다. 아티클 소개https://yozm.wishket.com/magazine/detail/1051/  데이터 기반 의사결정의 장점 | 요즘IT데이터 기반 의사결정은 의사결정을 내리기 전, 데이터를 활용해서 이대로 진행해도 무리가 없는지 체크하여 행동 방침을 승인하는 과정을 의미합니다. 데이터 기반의 의사결정은 분명 수많은yozm.wishket.com 저자 정보저자: 요즘IT의 번역글https://yozm.wishket.com/magazine/@yozm_global/ 요즘 사람들의 IT 매거진, 요즘IT매일 ..

[데이터 분석] A/B테스트를 할 때 정말로 기대하는 것 3가지

RPE-VIEW오늘의 아티클은 'A/B테스트 제대로 이해하기: ①테스트를 설계할 때 우리의 진짜 질문은?'입니다. A/B테스트에 관한 첫번째 아티클 소개로, 우리가 진짜 A/B테스트를 하는 이유에 대해 작성되었습니다.아티클 소개https://yozm.wishket.com/magazine/detail/1633/ A/B 테스트 제대로 이해하기: 1테스트를 설계할 때 우리의 진짜 질문은? | 요즘IT서비스 기획, PM, 그리고 그로스 해킹과 관련한 부트캠프나 신입 교육 과정을 살펴보면, A/B 테스트에 관한 이야기가 많다. 아마도 서비스를 개선하는 실험 방안 중 하나로 A/B 테스트가 가장 유명(yozm.wishket.com 저자 정보저자: 플래터그로스 PMhttps://yozm.wishket.com/maga..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