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RPE-VIEW
오늘의 아티클은 '설득하는 글을 쓰는 가장 쉬운 구조'입니다. 그중 하나인 오레오맵에 대해 배워 보겠습니다.
아티클 소개
설득하는 글을 쓰는 가장 쉬운 구조
글쓰기 관련 저명한 교수인 스파크스 박사의 힘 있는 글쓰기 원칙을 비롯하여 '글을 잘 쓰려면 이렇게 하라며' 글쓰기 교과서와 전문가들이 오랫동안 입을 모아 조언해 온 항목은 다음과 같다.
velog.io
저자 정보
저자: Hanstark
beneform (Hanstark) / 작성글 - velog
beneform (Hanstark) / 작성글 - velog
IT 업계에서 이런 저런 일을 하고 있습니다.
velog.io
핵심 내용 요약
주요 포인트
오레오맵
- 글쓰기에서 좋은 원칙으로 고수되어지고 왔던 원칙은 다음과 같다,
- 결론부터 써라
- 핵심 생각을 명료하게 전달하라.
- 메시지를 단락으로 나누어 설득하라.
- 사례를 들어 납득되게 하라.
- 근거를 제시하여 믿게 하라.
- 원하는 바를 제안하라.
이러한 요소를 충족하면서 논리적으로 생각하고 설득력 있는 메시지를 만드는 프레임워크가 바로 오레오맵이다.
- 프레임워크는 특정 결과를 내도록 구조화환 프로세스를 말한다.
OREO
O: Opinion (의견)
R: Reason (이유와 근거)
E: Example (사례)
O: Opinion / Offer (의견 강조, 제시)
오레오 중 '의견'이 가장 중요하다. 의견을 명확히 하고 나머지 요소도 보완하면 설득력 있는 메시지가 완성된다. 따라서 저자가 제안하는 순서는 다음과 같다.
- 의견 주장하기
- 이유와 근거로 증명하기
- 사례로 증명하기
- 의견 강조하기
또한 이를 글쓰기 프로세스로 전환하면 다음과 같은 결론이 나온다.
- O-R-E-O에 해당하는 내용을 각 한 줄씩 만든다.
- 각 한 줄을 핵심 주제로 두고 세부 내용을 보태 단락을 만든다.
- 각각 논리적으로 완결된 네 개의 단락을 연결하면 글 한 편 완성.
728x90
반응형
'IT 서비스 기획' 카테고리의 다른 글
[IT Biz] PMI 보고서에 따른 PM의 AI활용 동향 및 전망 (4) | 2025.02.07 |
---|---|
[데이터 분석] 유저 데이터 분석의 정의 및 장점과 분석 기법들 (0) | 2025.02.06 |
[PM/PO/기획자] PRD(제품 요구사항 정의서)의 정의 및 핵심 요소 (2) | 2025.02.04 |
[개발] 앱 개발 유형 - 웹앱, 네이티브 앱, 하이브리드 앱, 크로스 플랫폼 (2) | 2025.02.03 |
[데이터 분석] 1.데이터/지표의 이해, 데이터의 중요성, 로그의 개념 및 설계 기초, 데이터 분석 방법 (4) | 2025.02.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