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TRO
두 번째 글에서는 PM의 JD(Job Description)에서 자격요건의 주요 항목 중 하나인 ‘협업을 위한 소프트 스킬’에 대해 학습하였습니다.
- 소프트 스킬이란? 타인과 함께 일하고 상호 작용하는 방식을 나타내는 대인관계와 관련된 특성
1. PM에게 팀워크와 소프트 스킬은 왜 중요한가요?
- 소프트 스킬이 필요한 이유: 팀워크
1) PM에게 팀워크가 중요한 이유
(1) 복잡하고 큰 규모의 프로젝트를 수행하기 위해, 다양한 역할의 팀원들과 함께 문제를 해결해야 하기 때문
(2) 개발자와 다지이너의 공급에 비례해서, 사이드 프로젝트 등에서도 PM의 수요가 증가하는 상황. 이 상황에서 PM에게 요구되는 JD는 메이커들이 역량을 최대한으로 발휘할 수 있게끔 팀을 조율하는 능력이기 때문
2) 어떻게 일해야 할 것인가?
(1) 한 번의 스프린트가 아닌 지속적인 제품개선을 위해, 지속적으로 스쿼드를 유지해야 함
(2) (1)을 위해서 why에 대한 메이커들과의 공감을 이끌어내야 함
(3) what(어떤 일)을 하는지에 대한 명확한 정의와 how(문제 해결 방식)에 대한 규정을 통해 메이커들을 목표 달성에 집중하게 해야 함
(3) 협업과 신뢰를 위한 소프트 스킬
(1) 상기의 방법론을 통해 PM은 소프트스킬을 활용하여 적극적으로 소통해야 한다
2. 커뮤니케이션을 왜, 어떻게 해야 하나요?
- 핵심 소프트 스킬: 커뮤니케이션
1) 커뮤니케이션을 통해서 PM이 얻어야 할 것
- 제품 개선, 메이커들의 기여, 메이커들의 공감, 메이커들의 신뢰
-> 제품 개선이라는 PM이 가진 목적에 대해 메이커들의 공감을 이끌어 내야 하고, 메이커들이 문제해결에 기여하게끔 소통해야 하며, 메이커들이 가지고 있는 문제에 공감하여 신뢰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소통해야 한다,
2) 커뮤니케이션의 첫 번째 원칙: 방향성
- 현실적으로 생각해보아야 한다. 상대방 입장에서 생각해보아야 한다. 마지막으로 쌍방향 커뮤니케이션이 일어나게끔 윤활제 역할을 해야 한다.
3) 커뮤니케이션의 두 번째 원칙: 빈도
- 커뮤니케이션 빈도가 높을수록커뮤니케이션의 투명성을 보장한다. 또한 메이커들이 합의를 이룬 생각을 끊임없이 리마인드 시켜주어, 의견을 적극 수용하고 있다는 점을 어필함으로써 신뢰를 얻어야 한다.
4) 커뮤니케이션의 공용어: 데이터
- 제품의 품질, 즉 제품이 고객의 기대를 충족하는지를 정량화하여야 한다. 이러한 데이터를 통해 PM은 메이커들과 소통해야 한다.
3. 퍼실리테이션이 무엇이고 정확한 역할은 무엇인가요?
- 핵심 소프트 스킬: 퍼실리테이션
1) PM에게 퍼실리테이션이 중요한 이유
- 비대면, 수평문화로 인한 조직 간 협업의 중요성 증대 등의 이유로 미팅의 빈도수가 증가하는 추세다. 따라서 미팅을 주관하는 PM은 시간의 효율성을 고려해야 한다.
2) 퍼실리테이션이 필요한 이유
- 집단지성이 발휘되지 않는 경우도 있으며, 미팅의 실패 시 부작용이 매우 크기 때문이다
3) 퍼실리테이션을 통해 효율적인 미팅 만들기
(1) 미팅 준비 - 미팅의 목적과 참석자 정의가 중요
(2) 미팅 요청 - 미팅의 목적을 명확하게 전달
(3) 팅 진행 - 참석자들의 소통을 이끌어내야 함
(4) 미팅에 따른 액션 아이템에 대한 Follow-up
'IT 서비스 기획' 카테고리의 다른 글
[PM/PO/기획자] Product Manager 캠프 - ⑥그로스 해킹이란? (4) | 2024.12.09 |
---|---|
[PM/PO/기획자] Product Manager 캠프 - ⑤주간 회고 (0) | 2024.12.06 |
[PM/PO/기획자] Product Manager 캠프 - ④아이스브레이킹이 왜 필요한가요? (0) | 2024.12.05 |
[PM/PO/기획자] Product Manager 캠프 - ③애자일이란? (2) | 2024.12.04 |
[PM/PO/기획자] Product Manager 캠프 - ①IT업계에서 PM이란? (2) | 2024.12.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