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쿠팡 UX 리서치 기획
쿠팡을 대상으로 UX 리서치 기획을 진행해 보았습니다. '사용자는 검색 결과가 많을 때, 검색 필터보다는 추천 상품을 더 많이 참고한다'는 가설을 설정하여 검증하는 UX 리서치를 기획하였고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더 편하게 보시려면 노션 링크로 접속하여 보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쿠팡 UX 리서치 기획 | Notion
1. 문제 정의
foul-parrotfish-755.notion.site
검증하고 싶은 가설
사용자는 검색 결과가 많을 때, 검색 필터보다는 추천 상품을 더 많이 참고한다
1. 문제 정의
가설 분석
- 참고한다 = 검색 필터의 결과값 또는 추천 상품들을 검토하여 구매할 제품을 선택한다
- 검색 필터 참고: 필터 적용을 통해 자신이 직접 제품을 선별
- 추천 상품 참고: 쿠팡이 선별해주는 제품이 자신의 기준에 맞는지 검토
- 결론(문제 정의): 문제 = 가설은 두 가지 방법 중 어떤 것이 제품 선택에 더 도움이 되는 방법인지 검증하는 것. 검증을 결과를 바탕으로 UI/UX 개선
2. 목표 설정
인터뷰를 통해 얻고자 하는 결과
- 검색 필터와 추천 상품 중 제품 선택에 더 도움이 되는 것은 무엇인지 파악한다
부수적인 목표
- 도움이 된 방법이 있다면 그 이유는 무엇인가?
- 둘 다 도움이 되지 않았다면 그 이유는 무엇인가?
3. 유저 세그먼트
쿠팡 와우 맴버십이란?
- 월 7890원에 8가지 혜택을 주는 구독 제도
- 혜택 내용
- 배송비 0원 무료배송
- 무조건 무료반품
- 구매금액 최대 5%캐시적립
- 로켓프레시 구매혜택
- 아침 주문 저녁 도착
- 낮시간 주문 새벽도착
- 쿠팡플레이 무료시청
- 전용 특가&카드 즉시할인
- 혜택 내용
쿠팡 와우 맴버십 가입자(5명)
- 정의: 쿠팡을 고빈도로 사용하며 와우 맴버십을 구독한 유저
- 특징: 와우 가입자의 주문 빈도는 비가입자의 9배, 지출은 2.5배 이상
- 선정이유
- 고빈도로 주문하기 때문에 검색 필터나 추천 상품 등 쿠팡의 UI에 익숙할 것이라 예상
- 검색 필터와 추천 상품을 활용한 빈도가 높을 것으로 예상
쿠팡 와우 맴버십 비가입자(5명)
- 정의: 쿠팡을 저빈도로 사용하며 와우 맴버십을 구독하지 않은 유저
- 특징: 주문 빈도가 적고 낮은 매출액을 기록하기 때문에, 최저가나 반드시 택배로 받아야 할 물품 등을 주문
- 쿠팡의 UI에 익숙하지 않고, 필요한 상품만 검색하여 바로 결제하는 유저
4. 인터뷰 질문지 작성
인터뷰 일시: 2025년 1월 24일 20시
인터뷰 장소: 줌을 활용한 화상 인터뷰 공간
인터뷰 소요시간: 30~60분
질문
- 검색 결과가 많을 때, 어떻게 원하는 제품을 찾으시나요?
- 검색 필터나 추천 상품을 통해 구매 도움을 받은 경험이 있으신가요?
- 추천 상품을 구매한 후 얼마나 신뢰하시나요?
- 검색 필터 항목 적용을 잘 활용하시는 편인가요?
- 추천 상품과 검색 필터 중 원하는 것에 더 도움이 되는 장치는 무엇인가요?
- 예상 답변 예시
- 1번: 검색 결과가 많을 때, 어떻게 원하는 제품을 찾으시나요?
- 검색 필터 활용, 추천 상품 참고 등..
- 2번: 검색 필터나 추천 상품을 통해 구매 도움을 받은 경험이 있으신가요?
- 추천 상품은 검색 후 상품 페이지 첫째 줄에 위치해서 다른 상품과 비교 시에 도움이 되었다
- 3번: 추천 상품을 구매한 후 얼마나 신뢰하시나요?
- 추천 상품은 상위 노출에 대한 페이를 지불하고 입점 했을 것 같다. 그래서 많이 신뢰하지는 않았지만 막상 받아보니 생각보다 이상 없었다.
- 추천 상품은 최소한 중상위권 이상의 제품군이라는 생각이 있다. 가격이 낮거나, 좋은 품질이거나, 빠른 배송의 장점이 있었고 구매 후 예상 부분에 대해서 만족했다.
- 4번: 검색 필터 항목 적용을 잘 활용하시는 편인가요?
- 필터 적용시 비슷한 단계의 상품들이 쏟아져 나온다. 내가 직접 하나하나 보기 너무 힘들다.
- 여러개의 필터를 적용해야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 높은 가격순은 저렴하고 질 좋은 상품을 원하는 내가 필요한 필터가 아니다.
- 낮은 가격순은 왠지 품질이 안좋을 거 같아서 잘 쓰지 않는다.
- 판매량은 랭킹순(추천순)과 비슷하다. 판매량이 인기 순에 영향을 미쳐서 그런거 같다.
- 최신순은 특정 제품 군에서만 의미가 있다 -일단 과일을 주로 찾는 내가 원하는 정보 범위에는 들어가지 않음
- 5번: 추천 상품과 검색 필터 중 원하는 것에 더 도움이 되는 장치는 무엇인가요?
- 추천 상품을 더 잘 사용한다. 추천 상품은 많은 상품 중 선별된 거 같은 느낌이다.
- 프리미엄 딱지가 수천개 중 하나만 있으면 광고인걸 알지만 왠지 신뢰가 간다
- 1번: 검색 결과가 많을 때, 어떻게 원하는 제품을 찾으시나요?
- 예상 답변과 비교하며 정성적 데이터 수집하며 마무리
반응형
'IT 서비스 기획 > PM, PO, 기획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PM/PO/기획자] PM이 개발자와 협업하는 법(소통) (1) | 2025.02.12 |
---|---|
[PM/PO/기획자] IT 실무 필수 용어 및 기획자 필수 용어 (2) | 2025.02.11 |
[PM/PO/기획자] 기획자가 활용할 수 있는 오픈 API 및 사례 (2) | 2025.02.10 |
[PM/PO/기획자] PM이 배워야 하는 설득하는 글쓰는 법 (2) | 2025.02.05 |
[PM/PO/기획자] PRD(제품 요구사항 정의서)의 정의 및 핵심 요소 (2) | 2025.02.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