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M/PO/기획자] MVP 검증이 필요한 이유와 PM의 역할 및 검증 계획
1. MVP 검증이 필요한 이유
1) MVP(Minimum Viavle Product)의 개념
개념: 핵심 기능만 가진 초기 버전의 제품
목적: 빠르게 사용자의 반응을 얻어서 시장성을 판단한다
장점: 적은 비용과 짧은 시간으로 “이 아이디어/기능이 정말 필요로 되는가?”를 확인 가능. 실패했을 때의 리스크를 최소화(Fail Fast)할 수 있다.
2) PMF(Product-Market Fit)의 개념
개념: 제품이 시장(사용자) 니즈와 완벽하게 맞아떨어져, 시장이 제품/서비스에 대한 확실한 수요를 보여주는 상태
목적: 시장이나 사용자들이 “이 제품 없인 못 살겠어” 할 정도로 높은 가치를 느끼고 자발적으로 사용·재구매·추천하는지 확인한다.
PMF를 찾았다의 의미
- 본격적이 스케일업이 가능한 상태
- 유의미한 규모의 사용자가 자발적으로 찾아옴
- 재방문율·유료 전환율이 급격히 증가
- 추천(NPS) 지표가 높아짐
- 시장에서 제품/서비스에 대한 확실한 수요를 보여
MVP 검증 - 지속적인 지표 개선 - PMF 달성 순으로 이해
2. MVP 검증 단계에서 PM의 역할
창업가 정신 -> 고객의 진짜 문제 해결
1. 완벽한 제품을 만들 필요 없이, 핵심 기능 하나만 넣고 테스트
2. 빠르게 실패하고, 빠르게 배우기
3. 데이터와 고객 피드백을 바탕으로 실
3. MVP 검증 계획(1)
1. 목표&가설 수립
가설: 문제를 명확하게 정의하고, 해결할 수 있는 목표를 설정한 뒤, 그 목표를 달성할 수 있을 것이라는 예측을 실험 가능한 형태로 정리
-> 어 떤 실험을 해야 할지 명확해지고, 어떤 데이터를 보면 되는지도 정해짐
예시: 시장성 검증, 기능 및 사용성 검증, 비즈니스 모델 및 가격 정책, 타겟 고객 및 세분화, 리텐
2. 타겟 선정
- 잠재 고객군 페르소나에게 먼저 테스트해서 질 높은 피드백을 받아야 검증의 질이 높다
- 소수의 핵심 사용자에게 테스
3. 테스트 방법 설정
- 가설 유형에 따라, 가장 적은 노력(시간, 비용)으로 고객에 대한 가장 많은 검증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는 방법
4. 핵심 지표 정의
- MVP의 성공 여부를 판단하는 명확한 기준
예시: 리텐션, DAU, 특정 행동 전환율, 고객 획득 비용(CAC), 매출&구매 전환율
4. MVP 검증 계획(2)
5. 사용자 모집
- 유저가 될만한 사람들에게 직접 컨택
- 커뮤니티, SNS 바이럴, 리워드 지급, 컨텐츠 마케팅, 퍼스널 브랜딩된 개인 채널, 입소문이 날 수 있는 추천/초대 장치
-> 테스트 진행 및 결과 분석